본문 바로가기
여성의학

내분비 질환 중 유즙분비호르몬 장애(Prolactin disorder)

by 엔젤카 2024. 3. 22.
반응형

여성들에게 생길 수 있는 내분비 질환(Endocrine disorder) 중 유즙분비호르몬 이상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유즙분비호르몬 분비

-뇌하수체전엽 호르몬으로 정상치는 5-27 ng/dl이다. 

-혈액 채취는 midmorning에 또는 시술 직전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박동성을 가지고 분비되는데 난포기 후기에는 하루 14번, 황체기 후기에는 하루 9번의 박동성으로 분비된다. 

-도파민에 의해 억제되므로 종양에 의해 시상하부에서 뇌하수체로 가는 길이 방해되거나 항정신병약 등에 의해 도파민 수용체가 억제되면 혈중 유즙분비호르몬이 증가하는데 주로 생체 불균형, 약제, 신기능 감소에 의해 유즙분비호르몬이 상승하며 급성 스트레스, 통증에 의해서도 일시적으로 상승하지만 유즙분비호르몬 상승의 가장 흔한 원인은 항정신병약, 항도파민제제와 같은 약제 복용이다. 

-유즙분비호르몬이 정상보다 증가하였다면 약제사용에 대한 병력 청취와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대한 검사가 가장 먼저 시행되어야 한다. 

 

2. 고프로락틴혈증(Hyperprolactinemia)

1) 원인

-생리적 : 임신

-약물 : 항정신병약(항우울증 치료제 - imipramine), dopamine antagonist(phenothiazine, metaclopramide), 기타(cimetidine, methyldopa)

-대사장애 : 신장기능상실(renal failure), 간경화

-프로락틴 분비촉진인자 : 에스트로겐,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갑상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2) 고프로락틴혈증과 유루-무월경과의 관계

-유즙분비호르몬이 상승하게 되면 일차적으로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 호르몬의 박동성 분비 장애를 초래하여 배란이 억제되어 무월경이 발생하게 된다. 이차적으로는 과립막세포의 수를 줄이고 과립막세포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의 분비도 억제하며 부적절한 황체화와 프로게스테론 분비도 감소되는 기전으로 배란을 억제한다. 유즙분비와 무월경이 동반되어 있는 환자는 2/3에서 고프로락틴혈증을 보이며 이 중 1/3은 뇌하수체선종이 존재한다. 

-사춘기가 늦은 여아는 반드시 유즙분비호르몬과 갑상선자극호르몬을 평가해야 한다. 

 

3) 뇌하수체 질환

 (1) 미세샘종(microadenoma, 1cm 미만)

-고프로락틴혈증이 있는 여성의 1/3에서 영상학적 검사상 1cm 미만의 미세샘종이 확인된다. 미세샘종은 대부분 경과가 양호하여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가 많으며 거대샘종으로 성장하는 일은 거의 없다. 

-치료는 기대요법과 약물요법이 있다. 

  • 기대요법 : 임신을 원하지 않으면서 생리가 정상인데 미세샘종이 있거나 샘종이 없는 고프로락틴혈증이 있는 경우
  • 약물요법 : 강력한 dopamine agonist인 bromocriptine을 투여하면 80-90%에서 생리가 돌아오거나 유즙분비호르몬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이후 2~3년간 더 투여 후에 약을 끊는다. bromocriptine은 임신 중에도 투여 가능하다. 

 (2) 거대샘종(macroadenoma)

-증상 : 심한 두통, 시야장애, 요붕증, 실명

-치료 : 내과적 치료, 외과적 치료

  • 내과적 치료 : 브로모크립틴 치료가 가장 좋다.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며 유즙분비호르몬치가 정상으로 되거나 생리가 다시 시작되더라도 종양이 계속 커질 수가 있기 때문에 치료에 반응을 보인 절대적인 증거로 생각할 수 없고 6개월마다 MRI를 찍어보거나(매우 안정화되면 수년동안 1년마다) 증상을 재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 외과적 치료 : 브로모크립틴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지속적인 시야 장애가 있는 경우 수술이 필요하나 수술로 제거하더라도 재발이 매우 흔하다. 

 (3) 임신 중 뇌하수체선종

-미세샘종은 임신 중에 합병증을 거의 일으키지 않지만 추적감시는 필요하다. 추적감시를 하는 방법은 주기적인 시야검사와 안저검사인데 지속적인 두통이나 시야결손 또는 시야나 안저에 변화가 나타나면 MRI를 찍어봐야 한다. 혈중유즙분비호르몬 치를 재는 것은 의미가 없다. 브로모크립틴 복용 중에 임신이 되었으면 브로모크립틴을 끊는 것이 권고된다. 

-과거에 뇌하수체선종으로 transsphenoidal surgery를 받은 임신부는 매달 시야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뇌하수체선종이 있더라도 수유할 수 있다. 

-산욕기 때 혈압을 올릴 수 있는 브로모크립틴 투여는 금기시된다. 

 

 

Reference :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대한산부인과학회. 군자출판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