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3 상부생식기감염 - 골반염(PID)과 자궁내막염(Endometritis) 상부생식기감염(Infection of Upper Genital Tract)에는 골반감염증(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과 자궁내막염(Endometritis)이 있다. 이에 대해 알아보겠다. 1. 골반감염증(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골반감염증은 상부생식기감염과 염증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진단이며 자궁내경부로부터 자궁내막, 난관, 난소, 자궁근, 자궁주위 조직, 자궁복막의 감염증을 포함한다. 1) 골반감염증의 병태생리 Neisseria gonorrhoeae 및 Chlamydia trachomatis와 같은 성병 원인균이 골반염의 주된 원인균이다. 세균성 질염의 균들도 상부생식기계에 급성 염증과정을 일으키는데 이로 인해 조직손상이 생겨 질이나 자.. 2024. 3. 19. 자궁경부염(Cervicitis)은 왜 생기는 것일까? 자궁경부염에 대해서 알아보자 -자궁경부염은 자궁경부의 점막이나 점막하부의 염증을 일컫는다. -자궁경부 편평상피세포(외경부, exocervix)의 염증은 질점막세포와 연결되어 있어 질염의 원인균(트리코모나스, 칸디다, 헤르페스 등)에 의해 생긴 염증을 말한다. -점막화농성 자궁경부염 : 임질균(Neisseria gonorrhoeae), 클라미디아(Chlamydia trachomatis)가 주요 원인균으로 선세포(내경부, endocervix)에 일으킨 염증을 가리킨다. 1. 자궁경부염 진단 1) 육안 검사 : 외경부 분비물을 제거한 뒤 작은 면봉으로 내경부 점액을 채취하여 녹색 혹은 노란색의 점액농(mucopus)을 관찰하면 진단할 수 있다. 2) 그람염색법 : 보통 호중구가 30/HPF이상 관찰되고 세포 .. 2024. 3. 19. 여성들에게 감기보다 흔한 질환 - 질염(Vaginitis) 질염의 특징은 소양증, 분비물, 냄새, 성교불쾌증, 배뇨곤란이다. 생리적인 질 분비물은 백색이며 솜 모양으로서 냄새가 없고 정상적인 미생물이 집락을 이루고 있어(Lactobacillus acidophilus, 디프테리아종, Candida 및 다른 미생물총 등) pH 4.0 정도이므로 병원성 세균이 과도하게 자라는 것을 억제한다. 1.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BV) 세균성 질염은 질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한 가지 감염원에 의해 발생하기보다는 질의 정상 세균총의 구성 변화 즉 질 속의 정상 세균총을 구성하고 있는 Prevotell, Gardnerella vaginalis, Mobiluncus 종 같은 혐기성 세균이 10배까지 증가하고 Lactobacillus 종의 농도가 감소할 .. 2024. 3. 18. 생식기 궤양을 일으킬 수 있는 여성질환 3가지 생식기 궤양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단순포진바이러스와 매독이며 무른궤양(chancroid)이 세 번째 흔한 원인이다. 이들 질환은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과 관련이 있다. 또한 병력 청취와 검진만으로 생식기 궤양의 원인을 진단하는 것은 매우 부정확하므로 모든 생식기 궤양 환자에서 매독검사와 HIV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1. 생식기 헤르페스(Genital herpes) 단순포진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에 의해 생식기 궤양이 발생하는 재발성 병변이다. 주로 원인의 80%는 단순포진바이러스 2형(HSV type 2)에 의한다. 잠복기간은 3~7일이다. 1) 증상 및 증후 ▪︎일차감염 시 국소적인 증상뿐만 아니라 권태감과 발열 등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전신증상과 외음부 감.. 2024. 3. 16. 키타헬참름 키타헬참름 확인용 2024. 3. 15. 여성들을 위한 피임 방법 - 호르몬 피임제 1. 호르몬 피임방법의 일반적 사항 서구에서는 아주 보편적으로 사용되지만 국내에서는 피임약에 대한 잘못된 지식으로 인해 사용 빈도가 낮다.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매우 효과적인 피임 방법이다. 1) 성분에 따른 분류 -합성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의 복합제제 :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호르몬 피임제 -프로게스틴 단독 제제 2)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의 종류 -합성 에스트로겐은 거의 모든 경우에 ethinyl estradiol이며 최근 사용되는 피임약에는 ethinyl estradiol 20-35 µg을 사용한다. -프로게스틴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프로게스틴을 사용하면 에스트로겐의 투여량을 줄일 수 있고 자궁경관 점액을 진하게 하고 자궁내막을 얇게 만들어 피임효과를 높일 수 있다. -프로게스틴은 최근 4세대 프.. 2024. 3. 15.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